" 아 맞다! 지갑" 깜빡해도 폰 '띡'
핸드폰을 이용한 간편결제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신한과 KB카드도 애플페이 도입을 서두르고 있어
현재 삼성페이 위주의 간편결제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간편결제시장현황과 애플페이와 삼성페이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1. 간편결제시장 확대
2024년 간편지급 일평균 사용액이 9,600억 규모로 역대최대를 기록 할 정도로 성장세가 무섭습니다.
2. 애플페이란?
애플페이는 2014년 애플이 출시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입니다. 아이폰, 애플워치,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며, NFC(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사용자는 페이스 ID 또는 터치 ID를 통해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3. 삼성페이란?
삼성페이는 2015년 삼성전자가 출시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NFC와 MST(마그네틱 보안 전송,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술을 지원합니다. 덕분에 기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단말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국내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애플페이 vs 삼성페이: 차이점 비교
애플페이 VS 삼성페이
출시 연도 | 2014년 | 2015년 |
지원 기기 | 아이폰, 애플워치, 아이패드, 맥북 | 갤럭시 스마트폰, 삼성 웨어러블 |
결제 방식 | NFC 기반 | NFC + MST 지원 |
생체 인증 | 페이스 ID, 터치 ID | 지문 인식, 홍채 인식 |
카드 등록 | iOS 기반 전용 | 안드로이드 기반 전용 |
해외 사용성 | 글로벌 사용 가능 | 일부 국가 제한 |
5. 애플페이와 삼성페이의 장단점
애플페이 장점
✅ 높은 보안성: 카드 정보를 직접 저장하지 않고 암호화된 토큰 방식으로 처리됨
✅ 글로벌 사용 가능: 해외에서도 널리 사용 가능
✅ 빠르고 안전한 인증 방식: 페이스 ID 및 터치 ID를 활용
애플페이 단점
❌ 국내 NFC 단말기 부족으로 사용 제한
❌ 애플의 높은 수수료로 인해 카드사와 가맹점 부담 증가
❌ 애플 기기 전용으로 안드로이드 사용자 이용 불가
삼성페이 장점
✅ MST 지원으로 기존 마그네틱 카드 단말기에서도 사용 가능
✅ 국내 가맹점 활용성 높음
✅ 삼성 리워즈 등 추가 혜택 제공
삼성페이 단점
❌ 해외 MST 지원 제한(일부 국가에서는 NFC 단말기에서만 사용 가능)
❌ 애플페이에 비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 낮음
❌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만 이용 가능
6. 카드사 도입 현황
애플페이 도입 카드사
✅ 현대카드 (2023년 국내 최초 도입)
✅ 25년 상반기 신한카드, KB카드 도입 추진 중
✅ NFC 단말기 확산에 따라 사용처 증가 예상
삼성페이 도입 카드사
✅ 국내 주요 카드사(신한, 국민, 우리, 하나, 롯데, 현대 등)와 제휴
✅ 대부분의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등록 가능
✅ 국내 가맹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됨
7. 결제 실적 비교
2024년 기준 결제실적을 살펴보면
삼성페이 : 약 90조원
애플페이 : 약 2조원
8. 사용자 편의성 비교
🔹 애플페이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하지만, 국내 NFC 단말기 보급률이 낮아 사용이 제한적
🔹 삼성페이는 MST 기술 덕분에 기존 단말기에서도 결제가 가능해 국내에서는 실사용 면에서 유리합니다.
국내에서는 삼성페이, 글로벌 사용성 측면에서는 애플페이가 우위
9. 이슈사항
간편결제수수료 : 결제 서비스 회사가 카드사로 부터 받는 수수료(결제금액의 일정비율로 계산)
현대카드는 24년 애플페이 도입하면서 0.15%의 간편결제수수료 지급했습니다.
올해 신한과 KB카드도 애플페이를 도입하게되면 현대카드 정도의 수수료를 낼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삼성페이도 현재 수수료 없이 운영되었지만, 수수료를 요구 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로 인해 카드사 들은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 할 가능성이 높아지죠.
애플페이 확대가 소비자에게 좋은 점만 있지는 않다는 사실!
10. 향후 간편결제 시장 전망
✅ NFC 단말기 확산과 함께 애플페이의 국내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삼성페이는 기존 MST 기반 결제를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입니다.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등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와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결 론
애플페이와 삼성페이는 각각 강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 성공 여부는 가맹점 확대 및 사용자 편의성 개선에 달려 있습니다.
NFC 단말기 보급이 증가하면 애플페이의 국내 입지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고,
삼성페이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간편결제 시장이 확대되면서 "소비자의 편리함이 좋아지는 반면
수수료경쟁으로 인한 소비자 혜택도 같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재테크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투자 방법 종류 장단점 (나에게 맞는 투자 방법 추천) (16) | 2025.04.01 |
---|---|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 한강 실험 내용 암호화폐와 차이점(우려사항) (8) | 2025.03.31 |
유상증자 개념 방식 주가영향 장단점 대응방안(최근사례) (13) | 2025.03.21 |
2025년 토지거래허가제 내용 대상 규제 부동산시장 영향(재지정 최신정보) (13) | 2025.03.20 |
주택연금 조건 수령액 상품 나이 장단점(최신정보) (13)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