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

스트레스 DSR 적용시기와 시사점

by DREAMTRUE 2025. 2. 24.
반응형

스트레스DSR

 

1. 스트레스 DSR이란?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차주의 채무 상환 부담을 평가하는 기준

가계부채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대출자의 소득 대비 부채 상환 비율을 조정하여 과도한 대출 증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존 DSR 방식에 금리상승 위험을 더하여 가산금리를 추가 적용 

2. 스트레스 DSR 단계별 적용 시기 및 주요 내용

스트레스DSR

1) 1단계 :  24년 2월 26일 시행

    적용 시기: 가계부채 증가가 감지되거나 대출자의 부채 부담이 증가하는 초기 단계

  • 총부채 규모 및 상환 능력 분석
  • DSR 기준 변화 감지 및 적용 가능성 평가
  • 금리 변동성 및 금융 환경 변화 모니터링
  • 부채 한도 조정 및 대출 구조 점검

2) 2단계 :  24년 9월 1일

   적용 시기: 가계부채 증가로 인해 금융 부담이 심화되는 시기

  • 재정 건전성 강화 (소득 대비 부채 비율 점검)
  • 부채 리파이낸싱(재조정) 및 금리 조정 전략 수립
  • 정부 및 금융기관의 규제 정책 준수
  • 부채 상환 계획 조정 및 재무 컨설팅 활용
  • 금리 상승 시 부담 증가 예상 및 이에 대한 대비 필요

3) 3단계 : 25년 7월 예정

   적용 시기: 과도한 가계부채로 인해 금융 위험이 증가하고,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

  • 부채 감축 전략 실행 (추가 제한, 상환 가속화)
  • 예산 조정 및 지출 절감 계획 수립
  • 신용 관리 강화 및 금융기관 협의
  • 장기적인 재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출 전략 수립
  • 금리 인하 가능성에 따른 부채 조정 및 상환 전략 재검토

3. 부채한도 변화 

4. 단계별 대응 방안

"이미 1,2 단계가 시행중이라 3단계가 되면 금리 상승 100%가 반영되어

스트레스 금리가 적용되면 1.5%가 추가되어 적용되게 됩니다

결국 금리도 높아지고 한도도 낮아지게 되지요.

이에 대비하여 우리는 아래 단계별 대처를 선제적으로 해야될 필요성이 높아집니다"

 

 1단계 부채 현황 점검, 금융 환경 변화 분석, 구조 재검토
 2단계  리파이낸싱, 재무 컨설팅 활용, 규제 준수, 부채 상환 계획 조정, 금리 상승 대비
 3단계 부채 감축 전략 실행, 지출 절감 계획 수립, 신용 관리 강화, 장기적 재무 안정 계획 수립, 금리 인하 대비 조정

5. 스트레스 DSR 3단계 적용의 시사점

  • 금융 안정성 강화: 가계부채 증가를 조기에 감지하고 선제적인 조치를 통해 금융 위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재정 관리 필요성 증가: 개인 및 가계 차원의 철저한 재무 관리가 요구되며, 불필요한 대출을 줄이고 합리적인 재정 운영이 필수적입니다.
  • 정부 및 금융기관의 적극적 개입: 정책적인 규제 강화와 더불어 금융기관의 심사 기준이 더욱 엄격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소비 패턴 변화: 부채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해 소비 위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금리 변화의 영향: 금리 상승 시 이자 부담이 증가하여 금융 스트레스가 가중될 수 있으며, 반대로 금리 인하 시  조정을 통해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6. 그럼 우리는 어떻게?

 "금리는 높아지고 한도는 낮아지게 되므로 내집마련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좀 더 빨리 움직이시는게 좋다고 조언드립니다.

 

 다만,  최근 영끌 경매가 많이 나온다는 뉴스도 있듯이

너무 무리한 부채는 피해야겠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