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

AI 산업과 전력 상관관계 및 전력 관련 유망 주식과 ETF 추천

by DREAMTRUE 2025. 8. 9.
반응형

Ai

올 여름은 175년 만에 찾아온 찜통더위로 열대야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에너지 소비 또한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쳇GPT나 제미나이와 같은 생성형 AI의 전력문제도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는 우리의 일상을 바꾸고 있지만, AI가 엄청난 전기를 소비한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오늘은  AI 산업과 전력 상관관계와 전력 관련 유망 주식과 ETF 까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AI와 전력의 상관관계

최근 인공지능(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초거대 언어모델(LLM),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 등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고성능 GPU 서버를 운영해야 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전력 소비량을 폭발적으로 늘립니다.

  • 데이터센터 전력 소모: AI 학습 과정에서 수천~수만 개의 GPU가 동시에 가동되며, 이 과정에서 막대한 전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엔비디아 H100 GPU 1개가 700W 이상을 소모하며, 대형 AI 학습에는 수천 개가 사용됩니다.
  • 냉각 시스템 전력 사용: AI 서버의 발열을 낮추기 위해 대규모 냉각 장치가 필요하며, 이 또한 전력 사용량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 전력망 안정성: AI 산업이 집중된 지역에서는 전력 사용 피크가 발생하여 송배전망 확충, 변전소 증설, 재생에너지 확대 등 전력 인프라 투자가 필수적입니다.
ai 전력량

2. AI 산업 확장과 전력 수요 전망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6년까지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은 현재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한국은 AI 반도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투자가 활발해, 전력 수요 증가 속도가 세계 평균보다 빠를 가능성이 큽니다.

  • 클라우드 기업(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클라우드, 아마존 AWS, MS Azure)의 데이터센터 확장
  • AI 반도체 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고성능 칩 생산라인 확대
  • 전력 효율 인프라(HVDC 송전, 스마트그리드, ESS) 투자 확대

3. AI-전력 상관관계 투자 포인트

  • 데이터센터 부지 인근 부동산 및 인프라 기업: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지역은 전력망 확충과 함께 부동산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재생에너지와 전력 저장 기술: ESG 요구와 전력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 장기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 고효율 전력 반도체 기업: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술은 AI 인프라 확장에서 필수 요소입니다.

4. 전력 인프라 관련 국내 유망 산업군

AI 확산으로 전력 인프라 투자가 불가피해지면서 관련 기업들이 수혜를 볼 전망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산업군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4-1. 발전·전력 생산 기업 

  • 한국전력(015760): 국내 전력 공급의 핵심 기업으로, AI 수요 확대에 따른 전력 판매량 증가와 송배전망 투자 확대 수혜 가능.
  •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비상장): 원자력·수력 발전 비중이 높아, 친환경·대규모 전력 공급에 유리.
한국전력주가

 4-2. 송배전·전력 장비 기업

  • LS ELECTRIC(010120): 스마트그리드, 변압기, 차단기, ESS 솔루션 강자. 데이터센터 및 전력망 확충 수혜 예상.
  • 효성중공업(298040): 초고압 변압기, HVDC 송전 기술 보유. 대규모 송전 인프라 확대의 핵심 기업.

 4-3. 에너지 저장장치(ESS) 및 재생에너지 기업

  • 한화솔루션(009830): 태양광 모듈, ESS 솔루션 보유. AI 데이터센터의 친환경 전력 수요 대응.
  • OCI(010060): 태양광 원재료 폴리실리콘 생산. 글로벌 재생에너지 확대 수혜.

 4-4. 전력 효율·냉각 솔루션 기업

  • 피에스텍(002230): 반도체·데이터센터용 전력 반도체, 냉각 기술 보유.
  • 삼영전기(003720): 전력 제어용 콘덴서 전문 기업으로 전력 효율 개선 핵심 부품 공급.


5. 국내 AI 전력 인프라 ETF 정리

 5-1. KODEX AI전력핵심설비 (티커: 487240)

  • 한국의 대표 전력기기 기업인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을 약 60% 이상 편입하며, 국내 전력 설비 핵심 기업에 투자합니다 
  • 최근 순자산 규모가 8,000억 원을 넘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5-2.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티커: 491820)

  • 변압기, 전력케이블, 커패시터 등 전력 설비 관련 핵심 기업들에 분산 투자하는 ETF로,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효성중공업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설정일은 2024년 9월 24일이며, 총보수 연 0.35%, 1주 단위 매매 가능, 규모는 약 298억 원 수준입니다 .

6. 해외 전력 인프라 관련 ETF (국내 상장된 해외형 ETF)  

 6-1.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 미국 AI 전력 인프라 핵심 밸류체인에 투자하며, 최근 한 달 수익률이 23% 상승하는 등 높은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6-2.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 미국 내 전력 인프라 핵심 기업 약 10여 개를 압축적으로 담아 투자합니다. 최근 한 달 수익률은 **21%**에 달하며, 순자산 규모도 매우 큽니다 

 6-3. TIGER 글로벌AI전력인프라액티브 ETF

  • 미국뿐 아니라 유럽,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전력 인프라 기업에 액티브 전략으로 투자합니다. 최근 한 달 수익률은 **19.3%**를 기록했습니다 

7. 결론 – AI 시대의 전력 투자 전략

AI 산업 확장은 전력 인프라의 구조적 성장을 이끌어낼 것입니다. 데이터센터, 전력망, 발전, 송배전, ESS,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기업들이 장기 수혜를 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는 AI 산업 자체뿐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전력 생태계 전반에 주목해야 하며, 특히 한국전력, LS ELECTRIC, 효성중공업, 한화솔루션, OCI와 같은 핵심 기업이 중장기 유망주로 평가됩니다.


반응형